반응형
변동금리란?
대출하거나 예금할 때, 약정한 금리가
우대 금리에 연동하여 바뀌는 금리이다.
우리나라는 변동 금리 대출 비중이 꽤 큰 축에 속해
가계 대출의 약 90%, 기업 대출의 약 70%가
변동 금리형이다.
일반적으로 3개월~6개월을 두고 시장 금리에 따라
금리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금융상품의 이자율도 변하게 된다.
보호무역주의란?
한 국가에서 무역정책을 비롯한 각종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할 때 자국 경제 및
산업 보호를 목적으로 한 보호무역정책들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정책적 기조 및
그 사상을 뜻한다.
한마디로 국가 간 무역을 제한하는 경제정책이다.
보호무역은 한 국가가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자국이 해당 무역 대상국에
비해 산업적 취약 상황에 빠졌을 때
취하는 일종의 보호장치가 된다.
보호무역의 장점:
보호무역을 실시하는 국가는 보호무역정책 실시 기간 동안 자국 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보호무역을 실시하는 국가는 무역 거래를 통해 교환되는 타국의 제품 및 서비스 혹은 지식에 대해 자국 제품과 서비스 및 지식을 적극적으로 보호함으로써 자생적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무역 종료 후에도 타국과 무역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보호무역의 단점:
타국과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한 국가의 산업적 경쟁력을 회복시킬 시간을 벌어주지만 자국 산업이 자국에 국한된 경쟁력 회복에 지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우물안 개구리로 성장할 수 있다.)
반응형
'꼭 알아야 할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채비율이란? 분수효과란? (39) | 2023.02.01 |
---|---|
부가가치란? 부채담보부증권(CDO)이란? (33) | 2023.01.30 |
뱅크런이란? 베블런효과란? (34) | 2023.01.24 |
물가지수란? 뮤추얼펀드란? (29) | 2023.01.20 |
명목금리란? 무디스란? (2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