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단어3

빅맥지수란? 상장지수펀드(ETF)란? 빅맥지수란? 각국에 진출한 미국 맥도날드 햄버거의 대표 메뉴인 빅맥 가격을 통해 각국 통화의 구매력과 환율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지수이다. 영국의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가 분기마다 한 번씩 발표하고 있다. 이 지수가 클수록 물가가 상대적으로 더 비싼 것으로 판단한다. 이 지표는 '같은 물건은 어디서나 값이 같아야 한다'는 원칙을 전제로, 각국의 통화가치가 적정 수준인지 살펴보는 데 활용한다. 기본적으로 완전개방에 가까운 개방경제에서 같은 물건에 대한 가치는 동일하게 매겨지므로 이 동일한 가치를 서로 다른 화폐로 평가한 자료를 가지고 서로 비교하면 순수한 의미의 환율을 도출할 수 있다는 개념에서 비롯되었다. 2022년 2월 기준으로는 한국의 빅맥지수 순위는 27위이다. 스위스가 역시 높은 물가를 반.. 2023. 2. 3.
부채비율이란? 분수효과란? 부채비율이란? 부채비율은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얼마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재무구조 특히 타인자본의존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영지표다. 부채자본비율, 즉 대차대조표의 부채총액을 자기 자본으로 나눈 비율. 경영분석에서 기업이 건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쉽게 말해 자기돈 중에서 남의돈이 몇프로 있느냐? 빚이 얼마나 있느냐?이다. 분수효과란? 분수에서 물이 위로 솟는 것에 비유하여 저소득층의 소비 증가가 생산 투자로 이어져 경기가 좋아지는 효과를 이르는 말이다. 백화점 따위에서, 아래층에서 열리는 행사가 위층의 고객 유치로 나타내는 효과를 이르는 말이다.(↔낙수효과) 낙수효과보다 빠르게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경제 부양책으로 자주 등장한다. 저소득.. 2023. 2. 1.
레버리지 효과란? 만기수익률이란? 레버리지 효과란? 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차입금 등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일이다. 안정성을 추구하는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한다.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만기수익률이란? 만기수익률은 보유기간이 만료가 되는 경우의 채권수익률을 말한다. 다시 말해 매입 후 끝까지 채권을 보유할 경우 얻게 되는 모든 현금유입액이 투자원금에 대하여 연간 어느 정도의 수익을 가져오는가를 나타내는 예상수익률이다. 2022.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