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지식15

차근차근 경제용어 [기축통화] 기축통화란 국가 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활용될 수 있는 통화를 뜻한다. 대표적으로 알려진 기축통화는 미국의 달러 그리고 금을 예로 들 수 있다. 쉽게 말해 세계 어디서나 쓸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돈(통화)이다. 2022. 11. 21.
차근차근 경제용어 [기업공개] 기업공개란 개인이나 소수 주주로 구성되어 폐쇄성을 띠고 있는 기업이 법정 절차와 방법에 따라 그 주식을 일반 대중에게 분산하고 재무 내용을 공시하는 일. 즉 외부 투자자가 공개적으로 주식을 살 수 있도록 주식과 경영내역을 공개하는 것이다. 코스피 시장 혹은 코스닥 시장에 들어가기 위해 신고하는 모든 과정을 말한다. 기업공개를 하게 되면 기업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고, 홍보효과도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2022. 11. 13.
차근차근 경제용어 [금본위제] 금본위제란 통화 가치를 순금의 중량에 연계하는 화폐제도. 화폐단위의 가치와 금의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 관계를 유지하는 본위 제도이다. 금본위제의 특징은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다. 1. 무역적자는 금 유출을 의미한다. 금 보유량과 화폐 발행량이 연동되어 있다는 것은 무역에서 다른 나라로 금이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효과를 내게 된다. 2. 정부가 통화정책을 펴는데 한계가 있다. 통화량은 금 보유량과 연동되어 있긴 때문이다. 3. 환율이 고정된다. 금의 가격이 전 세계 똑같다 보니 고정환율이 된다. 4. 금본위제의 걱정은 원래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디플레이션이다. 금본위제에서의 통화량을 거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인플레이션은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금이 유입되지 않아서 생기는 화폐가치의 가.. 2022. 11. 12.
차근차근 경제용어 [금산분리] 금산분리란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이 상대 업종을 소유, 지배하는 것을 금지하는 원칙이다. 즉 기업이 은행의 주식을 일정 한도 이상 보유하거나, 은행 등 금융회사가 기업의 주식을 일정 한도 이상 보유하는 것이 금지되는 것이다. 금산분리가 되지 않았을때는 1. 기업진단의 관련 계열사가 부실해져도 계열 금융회사는 부산 계열기업에 계속 자금을 지원할 가능성이 크다. 2. 산업자본 계열의 금융회사가 계열기업을 위해 보유자산을 운영함으로써 지배 대주주와 소액주주, 고객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3. 금융회사는 특성상 다양한 기업과 관계를 맺으며 해당 기업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데, 기업이 금융회사를 소유할 경우 정보의 독점을 통해 문제를 양산할 수 있다. 4. 자금조달 및 대출조건 등 공정한 경쟁을 저해.. 2022. 11. 11.
반응형